트위터 최고 경영자 잭 도시는 자신이 2006년 처음 올렸던 '지금 막 내 트위터를 설정했음'이라는 한 줄짜리 트윗을 가상 자산인 NFT, 즉 대체 불가능한 토큰 형태로 팔겠다며 지난 6일 경매에 부쳤습니다. <br /> <br />2주 만에 290만 달러, 우리 돈 33억 원의 가치를 지닌 가상화폐로 판매됐습니다. <br /> <br />예술 작품이 아닌 트위터 기록마저 고가에 팔리는 등 NFT 열풍이 수집계에 큰바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NFT는 암호 화폐처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일반적인 동영상이나 이미지, 음악 파일은 대량 복제가 가능하고 원본을 파악하기 어렵지만, NFT는 소유권이나 판매 이력 등의 정보가 모두에게 내용이 공유되는 블록체인에 저장되기 때문에 원본임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1일 크리스티 경매에서 이 기술이 적용된 비플의 작품 '매일: 첫 5000일(Everydays: The First 5000days)'이 6천930만 달러, 우리 돈 783억 원에 판매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작 비플은 NFT에 거품이 끼어 있다며 언젠가는 이 거품이 빠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는 한 노래를 NFT 형태로 경매에 부친다고 했다가 입찰가가 112만천 달러, 우리 돈 12억6,500만 원까지 치솟자 판매 계획을 철회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작품의 소장 가치를 희소성과 이름값에만 기대고 있는 게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도 거셉니다. <br /> <br />뉴욕 브루클린에서 활동하는 영화감독 알렉스 말리스는 자신과 친구의 방귀 소리를 모아 만든 NFT 매물 '마스터 컬렉션'이 48만 원에 판매됐다며 NFT 열풍을 조롱했습니다. <br /> <br />말리스는 "미친 시장의 이면에 디지털 예술 애호가 대신 빨리 부자가 되려는 투기꾼들이 있다"며 "NFT 열풍이 터무니없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투자 회사 하그리브스 랜스다운의 수석 투자분석가 수재나 스트리터는 BBC에 "현재 NFT에 부는 열풍이 다른 대상으로 옮겨가면 NFT 자산은 순식간에 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"고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여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ㅣ박정란 <br />화면제공ㅣCROSSROADS' BY BEEPLE <br />자막뉴스 제작ㅣ이 선 에디터 <br /> <br /> <br />#NFT #twitter #가상자산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1032408265778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